검색로봇을 따로 제안하거나 웹사이트를 정상적으로 크롤링 하게 도와주기 위해서는 위와같이 지정합니다. 따로 로봇 메타태그를 활용하지 않고 삭제하시면 자동으로 크롤링 할 수 있도록 설정되기도 합니다.
위와같이 로봇 메타태그를 설정한다면 정상적인 색인허용과 웹 페이지 검색결과 반영이 가능해집니다.
웹 페이지 마크업
페이지 제목(title)과 페이지 설명(description)을 메타 태그를 활용합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 부분은 모든 웹 페이지의 title과 description을 다르게 지정 해주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사이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title과 description을 모두 다르게 설정한다는 것은 여간 귀찮은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사이트가 표면적으로는 10~15페이지가 있다고 한다면 실제로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30~40페이지 정도가 나옵니다. 모든 페이지에 title과 description을 따로 지정해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오픈그래프 역시 모두 다르게 지정해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많은 개발자분들이 명령어를 이용하여 모든 페이지에 title과 description를 일괄적으로 삽입하여 작업 하시는데, 이런 경우에는 사이트 구조 부분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없습니다.
고유한 제목과 사이트 설명을 지정해야 검색유저가 콘텐츠를 찾을 때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괄된 페이지 제목과 페이지 설명 사용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중요 모바일 사용성
반응형 웹사이트란 웹문서의 가로폭을 기기의 스크린에 맞게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반응형 웹사이트의 경우 모바일 기기 사용자에게 가독성을 높여주고 콘텐츠 소비를 돕습니다.
따라서 검색엔진도 사용자의 편리함이 잘 되어있는 웹사이트인지 판단합니다. 모바일 사용성이 낮은 사이트의 경우에는 상위노출에 큰 페널티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메타태그 설정을 진행합니다.
<head>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