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

검색엔진최적화(SEO) 가이드 2편 – 콘텐츠가 전부는 아니다.

앞에서 SEO란 무엇인지 설명해 드렸고, 테크니컬 SEO와 컨텐츠 SEO 크게 두 종류가 존재한다고 말해드렸습니다. 그렇다면 테크니컬 SEO란 무엇인지 조금 더 심층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1 테크니컬 SEO란?

웹사이트가 검색엔진에 조금 더 잘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인 작업을 말합니다. 코딩에 대하여 어느정도 이해가 있어야 할 수 있는 작업입니다. 물론 티스토리나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각종 정보들을 습득해 연습해 나간다면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자의 손을 거쳐야하는 깊은 부분까지 작업하실수가 없습니다.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도와주고 크롤링하기 좋은 웹사이트를 제작하는것이 쉬운일은 아닙니다.

검색엔진최적화
2-2 테크니컬 SEO 어떤 요소들이 있나?

네이버에서 제시하는, 구글에서 제시하는 수많은 기준 중에 가장 대표적인 3가지를 꼽으라고 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사이트맵 제출(sitemap.xml)
  2. robot.txt 의 바른 선언
  3. meta 태그 활용하기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라 들어보셨을 분들도 분명 있으실겁니다. 하지만 이 내용들이 무엇을 하는것인지 그 기능에 관해 잘 알고있으신분은 많지 않을것 같습니다. 이 요소들은 매우 중요해서 따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1. 사이트맵이란?
    웹마스터(개발자)가 크롤링 할 수 있는 사이트의 페이지에 대하여 검색엔진에게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입니다. 검색엔진이 보다 지능적으로 웹사이트를 크롤링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활을 합니다.
    속에는 URL에 대한 추가 메타데이터(마지막 업로드 날짜, 변경빈도, URL의 상대정인 중요도 )와 함께 URL을 나열하는 XML 파일입니다.

    사이트맵을 제작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무료로 사이트맵을 제작해주는 사이트를 찾아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방법이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무료 sitemap제작 사이트 : https://www.xml-sitemaps.com/

  2. robot.txt 란?
    거의 모든 편집기를 이용하여 robot.txt를 제작할 수 있는데, 검색엔진이 웹사이트를 크롤링 할때 접근을 제어하고 조절해주는 역활을 합니다. 만약 robot.txt를 설정하지 않으면 거의 모든 웹문서를 크롤링하여 검색결과에 노출시킵니다. 따라서 개인정보나 노출이 되면 안되는 페이지의 경우에는 robot.txt로 접근을 제안하여야 합니다.

    *중요*구글에서 말하는 robot.txt 파일 제출방법 : https://support.google.com/webmasters/answer/6062596?hl=ko

  3. meta태그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중 하나이며, 문서 그 자체를 설명하는 태그입니다. 문서가 어떻게 보일지에 다한 마크업입니다. 누가 이 문서를 만들었는지, 무엇에 관한 내용인지, 어떤 제목인지 등의 다양한 내용을 meta태그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뷰소스 보기를 활용하여 메타테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단축기 Ctrl + U)
테스트 01

2-3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잘 파악하자

기술적인 요소 중 하나로 검색엔진의 알고리즘을 잘 이해하고 파악하여야 합니다. 네이버, 구글과 같은 검색포털의 알고리즘은 계속 변화합니다. 검색유저에게 조금 더 질높은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변화하는 알고리즘을 잘 이해하고 파악하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